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깃
- 자바
- 프리코스
- React
- 알고리즘
- 우아한테크코스
- 선우예권
- 우테코
- linux
- Dreamhack
- c
- 네트워크 계층
- Upstream
- webhacking
- 위상 정렬
- 백엔드
- jsx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 프랑스어 #프랑스어배우기 #프랑스어독학 #델프인강 #시원스쿨프랑스어 #delf독학 #델프 #프랑스어기초 #프랑스어공부
- 진입차수
- 트랜스포트 계층
- 서울청년문화패스
- 비동기 처리
- 동적 프로그래밍
- 애플리케이션 계층
- 커밋메시지
- 예술의 전당
- 깃헙
- 웹개발
Archives
- Today
- Total
yon11b
포트포워딩이란? 본문
반응형
포트포워딩이 무엇인지 알아보기에 앞서, 공유기의 역할부터 알아보자.
공유기 역할
- 공유기에 연결되는 모든 기기들에 사설 네트워크(192.168.xxx.xxx)를 구축한다.
- 사설 네트워크를 만들면서 동시에 공인 아이피를 하나 할당 받는다.
사설 ip주소만으로는 인터넷에 연결될 수 없고, 반드시 공인 ip주소와 연결되어 있어야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다.
공유기는 연결된 기기에 사설 ip주소를 할당하기 위해서 *게이트웨이로 연결되어 있다.
*게이트웨이: 192.168.11.1, 192.168.22.1과 같이 .1로 끝나는 ip주소.
자신의 ip주소는 cmd창에 ipconfig를 치면 알 수 있다.
정리
이제 포트포워딩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며 포트포워딩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포트포워딩이 필요한 이유
외부 공유기에 접속해 있는 다른 사람이 내 컴퓨터1의 웹서버에 접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92.168.25.26은 사설 ip주소라서 공인 ip처럼 특정 기기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그래서 공인 ip인 1.234.567.890을 알려줘야 한다.
하지만 공인 ip에 접속한다고 해서 컴퓨터1의 웹서버로 접근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공유기에서 컴퓨터1로 접근할지, 컴퓨터2로 접근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인ip로 들어오는 X번 포트의 연결을 컴퓨터1의 Y번 포트로 연결해줘 라는 작업을 해줘야 한다.
이 작업이 포트포워딩이다.
728x90
'개발 > 웹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Uwsgi, Django 연결하기 (0) | 2021.12.24 |
---|---|
Django 프로젝트 생성 및 애플리케이션 생성 (0) | 2021.12.23 |
wsl와 연결한 포트포워딩 (0) | 2021.12.23 |
공유기 2대일때 포트포워딩하기 (0) | 2021.12.23 |
포트포워딩하기 (0) | 2021.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