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알고리즘
- 위상 정렬
- 서울청년문화패스
- 동적 프로그래밍
- c
- 프리코스
- 우테코
- 우아한테크코스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깃헙
- 비동기 처리
- Upstream
- 프랑스어 #프랑스어배우기 #프랑스어독학 #델프인강 #시원스쿨프랑스어 #delf독학 #델프 #프랑스어기초 #프랑스어공부
- jsx
- Dreamhack
-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 자바
- 트랜스포트 계층
- 진입차수
- React
- 깃
- 백엔드
- 웹개발
- 애플리케이션 계층
- linux
- 커밋메시지
- 선우예권
- 예술의 전당
- webhacking
- 네트워크 계층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5)
yon11b
2주차부터는 tdd가 등장했다. tdd 기반으로 개발할 때 필요한 JUnit에 대해 알아보자. Junit 사용하기 기본 설명 Junit은 TDD 기반으로 개발할 때 필요한 도구이다. 단위 테스트 도구이며, 외부 테스트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System.out으로 번거롭게 디버깅하지 않아도 된다. JDK 1.4에서 추가된 assertXXX를 사용하여 Test를 진행한다. TDD란?테스트 주도 개발. 설계 이후 코드 개발 및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는 기존의 개발 프로세스와 다르게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한 후 실제 코드를 개발하여 리펙토링하는 절차이다. Test Drive Development 의 약자. 테스트 결과를 단순한 텍스트로 남기는 것이 아니라 Test 클래스로 남긴다. 단정문으로 테스트 케이스의 수행 ..

2주차 미션의 요구사항 중에 이런 게 있었다. 이 참에 정리해보았다. commit 메시지 형식 (): - Subject line - 줄 바꿈으로 구분한다 - Message body - 줄 바꿈으로 구분한다 - Message footer type(scope)에 올 수 있는 표현들 feat (feature): 새로운 기능 추가 fix (bug fix): 버그 수정 docs (documentatiomn): 문서 수정 style (formatting, missing semi colns, ..): 코드 포매팅, 코드 변경 x 경우, 세미콜론 누락 refactor test (when adding missing tests) chore (maintain): 빌드 업무 수정, 패키지 매니저 수정 $location, $b..

우테코 1주차가 끝난 뒤 피드백으로 4기 우테코에서 진행했던 git 강의를 올려주셔서 들어봤다. upstream? origin? 뭐임?? 상류는 woowacourse 저장소(origin)고 중류는 내 원격 저장소, 하류는 로컬 로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자신의 상태에서 더 origin쪽으로 가는 것을 upstream한다고 한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yon11b/test.git 은 https://~~ 저 주소를 origin으로 임명하겠다! 라는 뜻이다. git push -u origin main 은 origin 저장소에 내 main branch를 푸시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u는 set upstream이다..) -u를 쓰는 이유는 로컬보다 ori..
우선순위 큐 O(nlogn) 힙 최소힙 UpHeap: 삽입 DownHeap: 삭제 제자리 힙 정렬 최대힙으로 구현 상향식 힙 생성 재귀식 O(n) 비재귀식 DownHeap 사용 분할통치 O(nlogn) 합병정렬 분할 쉬움 합병 어려움 배열을 이용한 합병 정렬 B[i++]←A[k++] 퀵 정렬 분할 어려움 합병 쉬움 분할에 pivot 사용 LT,EQ,GT while(iA[i]) i←i+1 while(i

위상 정렬의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진입차수를 이용한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DFS를 특화한 방법이다. 여기서는 진입차수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위상정렬은 진입간선이 0인 것들을 기준으로 삼는다. 따라서 진입간선을 알아내야 한다. 이 때 효율적으로 진입간선의 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제일 처음에 진입 간선의 수를 다 세어 놓는 것이다. A0: A로 들어오는 간선의 수가 0개이다. B2: B로 들어오는 간선의 수가 2개이다. 맨 처음에 A를 시작 노드로 했을 때, A가 B를 가리키므로 B로 들어오는 간선의 수를 하나 감소시켜서 B1로 만든다. (고려대상에서 제외한다.) 효율적으로 진입 차수가 0인 것을 찾는 방법 다 순회하면서 찾는다.? ⇒ 너무 비효율적 해결책:..

사전 지식 DAG이란? 방향 비싸이클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 방향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방향 그래프를 말한다. 다시 제자리로 돌아올 수 있는 경로가 없는 그래프. 위상정렬이란? DAG로부터 위상 순서를 얻는 절차이다. 자기한테 오는 간선이 없는 정점들이 맨 앞에 온다. 여기서는 A와 D가 맨 앞에 올 수 있다. 1번과 2번으로부터 들어오는 간선을 제외한 나머지 간선들을 생각해서 제일 앞에 올 수 있는 정점을 구한다. 번호를 다 매기지 않았는데 만약 진입간선이 있는 정점들밖에 남지 않았다면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 싸이클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DAG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