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동적 프로그래밍
- 프리코스
- 깃
- 우아한테크코스
- Upstream
- jsx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자바
- 예술의 전당
- 프랑스어 #프랑스어배우기 #프랑스어독학 #델프인강 #시원스쿨프랑스어 #delf독학 #델프 #프랑스어기초 #프랑스어공부
- 알고리즘
- 애플리케이션 계층
- 깃헙
- 선우예권
- 진입차수
- React
- webhacking
- linux
- c
- 서울청년문화패스
- 커밋메시지
- 위상 정렬
- 트랜스포트 계층
- 우테코
- 비동기 처리
- 웹개발
- 백엔드
- 코리안챔버오케스트라
- 네트워크 계층
- Dreamhack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5)
yon11b
17626번 - Four Squares pypy3로 내면 통과한다. import sys import math n = int(sys.stdin.readline()) dp = [0]*(n+1) dp[0]=0 dp[1]=1 for i in range(2, n+1): minValue = int(1e9) sqrtNum = int(math.sqrt(i)) for j in range(1,sqrtNum+1): minValue = min(minValue, dp[i-j*j]) dp[i] = minValue + 1 print(dp[n]) dp[] = 0 1 2 3 1 2 3 4 2 1 num= 0 1 2 3 4 5 6 7 8 9 dp는 num을 제곱수들의 합으로 표현했을 때 표현한 제곱수의 개수를 의미한다. 문제에서 자연수..

드림코딩 클론코딩 유튜브 사이트 따라 만들기 영상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이미지 flex .item { display: flex; img { flex: 1 1 35%; } .info { flex: 1 1 60%; } .moreBtn { flex: 1 1 5%; } } 이렇게 하면 이미지 비율이 바뀌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미지가 반응형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미지를 div 박스 안에 넣으면 된다. .item { display: flex; .img { flex: 1 1 35%; img { width: 100%; } } .info { flex: 1 1 60%; } .moreBtn { flex: 1 1 5%; } } } 나이스 샷~ 반응형 반응형 웹을 만드는 최고의 방법! .player ..
magic 파일은 다른 파일이 특정 조건에 맞는지 검사할 수 있도록 그 조건을 적어놓은 파일이다. 기본적으로 /usr/share/file 디렉토리의 magic 파일을 참조하여 파일을 검사하며, 임의의 magic 파일을 만들어서 검사할 수도 있다. 매직 파일을 지정하여 파일 종류 확인하기 (-m 옵션 사용) file -m ./magicFile test.c 사용자가 새로 만든 magicFile을 참조하여 test.c 파일의 종류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매직 파일 내용 29번째 바이트에 문자열 helloworld가 있으면 magicFile이라고 판별하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쓴다. 29 string helloworld magicFile file
하드링크 ln [원본] [하드링크이름] 한 파일의 복사본을 만든다. 한 파일을 복사하고 원본과 하드링크 파일은 같은 i-node를 가져 어디에서 수정을 하든지 상관없이 수정이 함께 이루어진다. 소프트링크(심볼링크) ln -s [원본] [소프트링크] 바로가기 아이콘과 비슷 하드링크 vs 소프트링크 공통점: 원본을 복사하고 어디에서 수정을 하든 같이 바뀜 차이점: 소프트 링크는 원본을 삭제하게 되면 연결이 끊겨 무용지물의 파일이 되어 버린다. 권한 표시 부분에서 맨 앞에 l을 표시한다. 하드링크는 원본을 지워도 하드링크 파일이 실행이 되고, 내용이 보존된다. 참고 블로그
파일 용량을 임의로 지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1. head -c [용량] /dev/urandom > [파일이름] 예) head -c 100 /dev/urandom > text.c 파일 크기가 100인 text.c를 생성하고 싶다! 2. truncate -s [용량] [파일이름] 용량에 K,M,G,T로 원하는 크기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 truncate -s 100M text.c 3. fallocate -l [용량] [파일이름] fallocate -l 1048576 text.x 1MB=1048576=1024Byte*1024Byte fallocate를 사용하면 용량을 반드시 바이트 단위로 지정해야 한다. 4. dd 명령어 이용 dd if=/dev/urandom of=text.c bs-10..
파일 날짜 수정하기 일반 파일인 경우 touch -t YYYYMMDDHHMMDD [파일명] 심볼릭 파일인 경우 touch -t -h YYYYMMDDHHMMDD [파일명] 파일 권한 수정하기 파일 권한은 ls -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맨 앞에 있는 drwx~~가 권한을 나타낸다. 맨 앞 d은 폴더(디렉토리)를 말한다. 폴더가 아니라 파일일 경우 d가 아니라 - 로 표시된다. 권한은 맨 앞을 제외하고 그 뒤에서부터 3개씩 끊어 읽으면 되는데, 순서대로 사용자 권한, 그룹 권한, 다른 사용자 권한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rwxrw-r--라면, 이 파일에는 rwx: 사용자 권한에 read(읽기), write(쓰기), execute(실행) 권한이 모두 부여됐고 rw-: 그룹 권한에 read,write 권..